무비게임

카이로프랙틱 시술방법 및 주의사항


안녕하십니까 무비게임입니다.

오늘은 카이로프랙틱에 대한 포스팅을 해보려고 합니다. 카이로프랙틱이라고 아시는 분 많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이는 신경이나 근 골격계를 복합적으로 다루는 치료를 말하는데요 보통 숙련자의 손기술을 통해서 관절의 비정상적인 배열을 교정함과 동시에 신경이 눌리는 부분을 풀어주는 것입니다. 카이로프랙틱은 직접적인 자극을 주는 방법도 있지만 간접적인 자극을 주는 방법도 있는데요 오늘은 그에 따른 소요시간과 주의사항 및 부작용 등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카이로프랙틱이란?


카이로프랙틱이라는 말은 그리스어에서 파생이 되었습니다. 이는 손을 뜻하는 카이로(cheir)과 치료를 뜻하는 프랙틱스(praxis)의 합성어로서 약물이나 수술을 뜻하지 않고, 예방과 유지적인 측면으로 역점을 주어서 신경이나 근골격계를 복합적으로 다루는 치료입니다. 카이로프랙틱의 치료 이론적인 근거로는 숙련자의 손기술을 통해서 척추의 후관절에 관절운동 범위를 넘을 수 있도록 고속, 저강도의 자극을 가해서 후관절을 늘려주면, 후관절의 비정상적인 배열을 교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전체 척추의 비정상적인 배열을 교정해주고 신경이 눌리는 부분을 풀어 줄 수 있습니다. 또한 관절과 근육 속의 감각 수용체와 기타 인체 내의 감각 수용체를 자극하여, 통증에 대한 감각을 무디게 할 수 있습니다.



카이로프랙틱 시술방법


질환으로 불편한 부위에 따라서 카이로프랙틱은 다양한 방법으로 시술이 가능합니다. 크게 직접적인 자극을 주는 방법과 간접적인 자극을 주는 방법으로 분류할 수가 있습니다. 직접적인 자극을 주는 방법은 앞에서와 같이 테이블에 엎드린 자세에서 척추의 후관절에 관절 운동 범위를 약간 넘도록 고속, 저강도의 자극을 가해서 후관절을 늘어주게 합니다. 후관절이 늘어나면서 '뚝' 소리가 날 수 있으며 간접적인 자극을 주는 방법은 척추를 고정한 상태에서 시술자가 다리나 팔을 잡고 움직여서 척추에 조작을 가합니다.


카이로프랙틱 소요시간


카이로프랙틱의 소요시간은 치료를 할 부위가 어디인지에 따라서 또한, 어떤 치료 방법을 사용할 것인지에 따라서 다양한데요 병원에 따라서 교정 치료 및 운동치료를 병행하는 곳도 많기 때문에 짧게는 약 30분에서 길게는 2시간 가량 걸릴 수 있습니다.





카이로프랙틱 주의사항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카이로프랙틱 하기전 시술자에게 몸 상태를 알려야 합니다.


1. 열이 있는 경우


2. 쉬고 있거나 잠을 잘 때도 지속되는 요통이 있는 경우


3. 무릎 아래로 뻗치는 듯한 통증이 있으면서 감각 저하가 있는 경우


4. 배뇨 및 배변 장애가 있는 경우


5. 직접적인 타격 등의 손상이 있는 경우


6. 암 병력이 있는 경우


7. 설명 할 수 없는 체중감소가 잇는 경우


8. 골다공증이나 척추 골절이 동반된 경우





카이로프랙틱 부작용 및 후유증


카이로프랙틱은 2008년에 척추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에 의하면 시술 부위에 가벼운 통증, 두통, 피로감, 다리로 뻗치는 듯한 통증, 현기증 등이 발생을 할 수 있지만 그중에 약 64%는 4시간 내에 소실 되고, 74%는 하루 안에 소실된다고 합니다. 드물게 카이로프랙틱 치료로 인해서 요추 추간판 탈출증이 발생할 수 있고, 심한 경우에는 마미 증후군이 발생을 할 수 있습니다.


마미 증후군은 디스크 등이 튀어나와서 신경 다발을 눌러 발생하는 것으로 항문과 회음부의 감각 저하, 발의 감각 저하 및 요정체, 요실금, 변실금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엉치, 허벅지, 다리 쪽으로 뻗치는 듯한 통증이 생길수가 있습니다. 관련 치료법으로는 추나요법과 정골 요법이 있습니다.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