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비게임

난시 증상 & 치료방법


안녕하십니까 무비게임입니다.

오늘은 난시 증상에 대한 포스팅을 해보려고 합니다. 난시라는 것은 많은 분들이 겪는 증상 중에 하나인데요, 그만큼 난시로 인한 불편함을 호소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각막은 눈의 앞쪽 표면을 덮고 있는 투명한 부분으로서 우리가 흔히 검은동자라고 하는 부분인데요, 난시는 이 중 눈에 들어간 빛이 각막에서 굴절되면서 한 점에서 초점을 맺지 못하고, 두 점 또는 그 이상의 초점을 갖는 눈의 굴절이상을 말합니다. 



난시란?


각막은 빛이 잘 지나갈 수 있도록 투명하게 되어 있으며, 볼록렌즈의 한쪽을 잘라 놓은 것 같은 모양을 하고 있음으로써 눈에 들어오는 빛을 굴절시켜서 망막의 한 점으로 모이게 하는 기능을 합니다. 보통 각막은 굴절력의 2/3을 하고 수정체가 나머지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각막은 보통의 경우에는 상하좌우가 어느 정도 대칭적인 모양을 가지고 있지만, 난시가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대칭성에 변화가 생깁니다.


각막의 모양이 바뀌게 되면 한 점에서 출발한 빛이 수직방향, 수평방향에 따라서 맺히는 초점이 달라지게 됩니다. 그래서 들어간 빛이 각막의 한 점에서 만나지 못해 초점이 맞지 않고 흐리게 보입니다. 원시나 근시에서는 초점이 망막 표면에 맞지 않아서 상이 흐리게 보이는 것과 달리, 원거리의 한 점에서 나오는 빛이 각막과 수정체를 통과한 후에 어느 한 점에 상을 맺지 못함으로써 흐려보입니다.





난시의 원인


난시는 각막과 수정체에서 발생을 하지만 대부분은 각막에서 발생합니다. 각막의 모양이 마치 럭비공을 잘라 놓은 것 같은 모양을 띠게 됨으로서 들어가는 빛이 일정하게 굴절되지 못해 망막의 앞과 뒤쪽의 서로 다른 위치에 초점을 맺게 됩니다. 난시가 생기는 원인은 정확하게 밝혀져 있지는 않지만 유전적인 요인도 있기 때문에 부모에게 난시가 있을 경우에는 자녀에게도 난시가 생길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안검하수나 부안검 같이 눈꺼풀이 눈을 누르거나 눈썹이 닿는 상황에서도 난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난시는 자연적으로 생길 수도 있지만 각막에 질환을 앓거나 수술을 받은 후에 생기는 경우도 있고, 나이가 들어서 생기는 난시 중에는 군날개 등의 질환에 의해서 생길 수도 있습니다. 또한 난시를 발생 시킬 수 있는 질환으로 '원추각막'이 있습니다. 온추각막은 진행성으로 각막의 중심부가 서서히 얇아져서 원추 모양으로 돌출이 되는 질환입니다. 이러한 원추각막은 각막이 얇아지고 돌출되기 시작하면서 부정난시를 유발하게 됩니다. 원추각막의 원인 또한 6~8% 정도는 유전적인 요인이고, 결막염 등의 원인이 있습니다.





난시 증상


난시라고 하면 우선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난시 증상으로는 뚜렷하게 보이지 않고 흐리게 보이는 증상 입니다. 근시가 있을 때와는 다르게 먼곳, 가까운 곳이 모두 선명하게 보이지 않는데, 이는 근시가 동반될 경우에는 가까운 곳이 조금 더 잘 보일 수도 있기 때문에 정확한 검사를 받아봐야 합니다. 약한 정도의 난시는 별 증상이 없을 수 있지만, 난시가 심한 경우에는 가까운 곳을 잘보기위해서 눈의 모양체 근육이 수축하는 현상으로 인해서 눈 피로가 나타나게 되며, 이는 두통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눈을 찡그려서 볼 경우에는 더 잘보이는 경우도 있어서 나쁜 습관이 생길 경우도 있습니다. 난시의 정도에 따라서 증상을 사람들은 다르게 느끼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난시가 심해도 증상이 적게 나타나는 경우도 있고, 난시가 약한 정도지만 증상을 크게 느끼는 사람도 있습니다.



난시 증상 치료법


1. 안경 - 가장 보편적인 치료법인 안경은, 보통 난시가 단독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근시, 원시와 같이 있기 때문에 이를 교정하는 안경을 착용하게 됩니다. 난시의 경우는 굴절검사를 통해서 측정한 값을 그대로 안경에 적용을 시키지 않습니다. 그대로 적용을 시킨다면 어지러울 경우가 생길 수가 있기 때문에 굴절검사 상의 수치대로가 아닌 좋은 시력과 편하게 볼 수 있는 돗수 사이의 균형을 잘 맞춰야 합니다.


2. 콘택트 렌즈 - 일반적인 소프트 렌즈는 난시 교정기능이 없기 때문에 경도의 난시는 별 영향이 없지만난시 정도가 0.75 ~ 1.5를 넘게 되면 교정시력이 잘 나오지 않습니다. 이 때는 난시교정용 소프트콘택트렌즈를 고려해야 합니다. 보통 난시가 있는 분은 산소투과성 콘택트렌즈가 좋습니다.



3. 굴절교정 수술 - 최근 라식, 라섹 등의 굴절 교정수술이 많이 발달 되었습니다. 원시, 근시만 교정이 가능한 게 아니라 난시까지도 함께 교정을 할 수가 있습니다. 라식이나 라섹 등의 수술을 받기 힘든 고도난시의 경우는 안내렌즈삽입술이 대안이 될 수 있으며, 충분한 상담을 하시고 받길 바랍니다.


4. 수술적 치료법 - 난시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각막절개술, 윤부절개술, 플라스틱 링 삽입술 등이 시행이 되고 있습니다. 최근 각막절개술은 눈의 강도를 약하게 하기 때문에 수술을 줄이고 있으며, 최근에는 백내장 수술시에 난시를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난시교정용 인공수정체를 통해서 치료를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장기적인 결과가 나오지 않아서 다른 방법을 우선적으로 생각을 하는게 좋습니다.



'건강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부전증이란?  (0) 2020.07.23
회전근개파열 치료법  (0) 2020.07.21
안구건조증 치료  (0) 2020.06.21
신장염의 증상 & 치료방법  (0) 2020.06.19
허리디스크 다리저림 치료  (0) 2020.06.02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